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와인17

와인정보_와인기초상식_와인공부_와인테이스팅_와인맛의 표현 와인 테이스팅 와인 테이스팅 환경 테이스팅의 환경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테이스팅의 환경은 크게 장소, 시기, 패널이 있습니다. 테이스팅의 장소는 외부의 냄새유입이 없는 곳으로 하고 개별적인 칸막이가 있는 곳도 좋습니다. 또한 서로 의견을 나누도록 하는 토의실이 있다면 금상첨화이지요. 시기는 늦은 아침이 좋습니다. 점심을 먹기 전이 식욕이 왕성해서 감각이 예민해지기 때문입니다. 패널은 개인적인 취향을 중시하는 사람보다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사람이 좋습니다. 물론 전문적이고 감각이 예민하나 사람이 좋겠지요. 테이스팅 절차 이번엔 테이스팅 절차입니다. 절차는 글라스와 와인준비-시각적판단-후각적판단-시음-시음 후의 변화감지-테이스팅 노트작성순으로 진행됩니다. 처음 준비단계로 와인과 글라스, 투.. 2022. 12. 21.
[와인정보]_와인기초상식_와인 테이스팅 방법 와인 테이스팅 와인 테이스팅 방법 와인의 테이스팅은 쉽지가 않죠. 와인 테이스팅은 19세기 와인의 대규모 거래가 활성화되자 전문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와인 테이스팅은 4가지 감각을 기준으로 적절한 절차 및 환경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4가지 감각 중 첫째인 시각은 투명도, 색깔, 기포 등을 판별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후각입니다. 알코올, 포도향, 오크 올향, 발효 후 여러 휘발성 성분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테이스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셋째는 미각입니다. 느끼는 맛은 단맛, 신맛, 쓴맛으로 마실 때뿐만 아니라 마시고 난 후의 여운(피니쉬)도 매우 중요한 테이스팅 포인트입니다. 마지막으로 넷째는 촉각입니다. 와인의 농도나 온도를 말하는 것이지요. 테이스팅의 절차와 환경에서 조.. 2022. 12. 20.
[와인정보]_와인용어_와인기초상식_와인 와인용어 와인 용어 알아보기! Aperigif(아페리티트) : 식전에 마시는 와인으로 산미가 있어서 입맛을 자극시키고 식욕 촉진 위해 에피타이저와 함께 마시는 샴페인, 화이트 와인, 쉐리 등 Appellation(아뻴라시옹) : 포도가 자란 지역을 나타내는 말 Appellaton d'Origine Controlee(아뻴라씨옹 도리진 콘트롤레) : AOC와인법 Bouquet(부케) : 꽃다발의 뜻으로 와인이 숙성 후 생성되는 복합향을 뜻함. Bouchonn(부쇼네) : 곰팡이에 변질된 코르크로 변질된 와인 향 Champagne(샹빠뉴) : 샴페인의 불어 발음으로 산지와 거품 있는 와인을 뜻함. Chateau(샤또) : 프랑스어로 성을 뜻하며 포도를 생산하고 양조 시설과 병입 시설을 갖춘 대규모 포도원 Co.. 2022. 12. 19.
[와인정보]_와인기초상식_ 귀부와인_토카이_TBA_소테른 귀부와인_ 토카이 처음으로 가장 역사가 오래된'토카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귀부와인이 언제 생겨 났는지 정확한 사료는 없지만 문헌상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귀부와인 산지가 이 헝가리의 토카이입니다. 토카이 지역에서는 귀부와인을 아쑤라고 부릅니다. '달다'는 뜻이지요. 태양왕 루이 14세는 토카이를 일컬어 '왕의 와인이며 와인의 왕'이라고 했을 만큼 토카이의 귀부와인은 예전부터 명성이 자자했습니다. 또한 러시아의 황제들은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하고 즐겨 마셨다고 합니다. 등급은 바구니란 뜻의 푸토뇨스를 쓰고 단계는 3-6단계까지 있습니다. 이 숫자는 와인 양조에 들어간 귀부와인의 양을 의미하고 뒤고 갈수록 보통 더 비싸집니다. 그 위의 프리미엄 와인으로는 순수 귀부 포도로 만드는 에센시아가 있습니.. 2022. 12. 15.
반응형